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 조건 및 총정리, 간단한 설명

by 지식방장 2020. 6.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디까지해봤니입니다.

오늘은 청년내일채움공제를 누가 어떻게해야 받을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풍요를 불러주는 밝은기운의 사진을 보고 시작하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뭔가요?

청년내일 채움 공제란 중소/중견 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들의 장기근속을 위해 만들어진 사업이다. 청년,기업, 정부가 공동을 공제금을 적립하여 2년간 근속한 청년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1,600만원 (+이자)의 만기 공제금을 지급하는 제도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중소기업벤처기업부의 내일채움공제와는 별도의 사업이라는 것입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34세 이하(군필자 39세까지)이고,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12개월 이하일 경우 2년형, 3년형(뿌리산업 근로자만 가능)으로 가입이 가능한데 2년형은 월 125,000원 씩 합 24개월을 내면 내가 낸 돈까지 합쳐 1,600만원을 돌려주고, 3년형은 월 165,000원 씩 합 36개월을 내면 내가 낸 돈을 합쳐 총 3,000만원을 돌려준다.

 

표면으로는 3년형을 선택하는게 유리해 보이지만 신입사원의 1년내 퇴사 확률 48%, 2년이내 70%, 3년이내 85%의 통계를 보면 대부분 2년 전에 퇴사를 하는 성향을 보이고있어 신중히 선택해야 할 것 같습니다. 중도에 퇴사하게되면 내일채움공제도 중도 해지가 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신규가입자, 근로자)

1. 가입대상

 

중소기업: 5인 이상 중소, 중견기업(3년 평균 매출액 3천억원 미만인 기업)

핵심인력: 중소,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2. 지원자격

 

 

연령: 정규직 취업일 현재 만 15세 이상 ~ 34세 이하

 

이력: 고용보험이력 12개월 이하,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2개월을 초과하더라도 최종 피보험 자격 상실일로부터 실직기간이 6개월 이상은 지원 가능합니다.

 

 

3. 지원내용

 

2년형

청년 본인이 2년간 300만원(매월: 125,000원)을 적립하면 정부(취업지원금 900만원)와 기업(기업기여금 400만원)이 공동 적립

2년 후 만기공제금: 1,600 만원 + 이자 수령

 

 

3년형

청년 본인이 3년간 600만원(매월: 165,000원)을 적립하면 정부(취업지원금 1,800만원)와 기업(기업기여금 600만원)이 공동 적립

3년 후 만기공제금 3,000만원 + 이자 수령

 

 

이에따른 혜택

 

- 최소 2년 이상 동일 사업장에서 근무하면서 실직적 경력 형성의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 본인 납입금 대비 5배 이상을 수령하여 미래설계의 기반을 마련하실 수 있습니다.

- 만기 후 중소벤처기업부의 내일채움공제(3~5년)로 재가입 또는 연장 가입 시 장기적인 목돈마련이 가능합니다.

 

 

코로나관련 청년내일채움공제 변경사항

1. 청년공제 납입 중지 사유인 휴직, 휴업의 납입중지 기간 연장

2. 청년공제 주옫해지자 재가입을 위한 재취업 기간 연장

3. 코로나 19로 인한 근로시간 단축 관련

 

신청방법

신청방법은 워크넷에서 청년공제홈페이지로 이동해 참여 가능합니다.

 

내일채움청년공제 신청에 대한 궁금항 사항은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국번없이 1350)로 전화를 걸으셔서 자세한 내용을 상담받아 내가 보다 적합한지 정말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시는게 가장 빠른길인거같습니다.

 

위 내용은 참고로 사용하시어 기준을 정하신다음에 부디 나라에서 운영하는 지원사업을 받으셔서 더 윤택한 삶 즐기시길 바라겠습니다 ^__^

 

 

이상 내일채움공제에 관해 알아봤습니다.

요새 코로나로 인해 취업난의 골이 더 깊어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모두들 코로나 조심하시구 풍요로운 내일이 열리셨으면 좋겠습니다^^

 

글을 잘 보셨다면 하트 눌러주시길 부탁드릴게요~! 로그인을 하지 않으셔도 충분히 가능하답니다 ^__^

 

늘 힘내시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